두번째 회사에 입사한 뒤 대략 한달 반이 지났다. 그 간의 간단한 소회와 현업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사실 현 직장에 대한 욕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래서 제발 아무도 들어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회사명이나 서비스명은 비밀. 그래도 이해를 위해 서비스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우리 회사에서 주요하게 매출이 나오는 서비스는 아니다. 원래 주된 매출을 차지하는 서비스가 있고 꽤나 성공적으로 서비스 중이다. 그런데 수익 다각화와 미래 먹거리를 위하여 도메인은 비슷하면서 비지니스 모델은 조금 다른 서비스를 작년 중순 즈음 시범적으로 시작을 한 것이다. 시장 반응이 나쁘지 않았고, 지금은 본격적으로 스케일업을 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 이용자 수는 대략 3,000명 정도가 되는 거 같..
전체 글

개발자로서 네트워크의 구조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인 기본 역량 중 하나일 것이다. 이런 이유로 나도 네트워크의 복잡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네트워크 관련 서적이나 강의를 틈나는 대로 읽고 유튜브 강의도 종종 보면서 네트워크의 계층이나 프로토콜에 대한 지식을 쌓았고, 최근에 홈 서버를 구축하면서 배운 내용을 연계해서 이해보려고도 노력했다. 그럼에도 책이나 강의에서 다루는 네트워크 관련 내용은 상당히 이론적이로 추상화된 지식을 다루는데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어떤 장비가 어떻게 사용 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기 어렵다. 이런 지식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프라 엔지니어의 담당 영역이라서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자세히..

꼼삐에서 식물 검색을 할 때 실시간 인기 식물 순위가 노출되면 좋겠다는 요구사항이 있었다. 사실 복잡한 로직을 요하는 기능은 별로 개발해본 적이 없었어서, 요구사항을 듣고서 바로 구현방안이 떠오르지 않았다. 어떤 자료구조를 활용해서 어떻게 구현할 지 조금 고민하다가 금방 구현을 하긴 했다. 그런데 최근에 어떤 회사 채용 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묻는 질문이 있었는데, 까먹어버려서 뭔가 뚜렷하게 답을 하지 못했다. 잊지 않도록 상세하게 구현 내용을 좀 적어두려고 한다.1. 기능 요구사항'인기 순위' 라는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여러 조건들이 필요했다. 우선 '인기' 라는 것을 어떤 지표로 판단할 것인지를 정해야 했다. 직관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지표는 조회수, 관련 게시글 수(이 경우에는 관련 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