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지금까지 Redis 는 주로 캐싱 용도로 많이 사용했고, 그외로 Pub/sub 처리, 실시간 인기순위 등에 사용했었다. 사실 실제 운영 환경에서 Redis 를 운용해본적은 없어서 조금 고민이 부족했던 부분이 많이 있었는데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어떤 고민들을 해야했고, 어떤 문제들이 발생하는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다.1. 메모리 관리Redis 는 태생적으로 메모리를 저장공간으로 사용하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로, 디스크를 이용하는 RDB 에 비해서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러나 성능이 좋은 만큼 비용은 훨씬 크다. 때문에 제한된 용량을 가지며 가격도 디스크에 비해 매우 비싸다.더보기기억 장치별 성능최근에는 보조기억장치로 SSD(Solid State Disk) 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하드 디스크..
HTTP 에 관한거라고는 시작줄, 헤더, 공백, 바디 정도로 이루어져있다. 는 것 정도밖에 모르고 있었다. 사실 HTTP 통신의 경우 워낙 추상화가 잘되어있기 때문에 그냥 뭐 알아서 잘하나보지라고 블랙박스인 상태로 놔두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최근에 등장한 HTTP 2, 3 버전은 통신 방식에서 기존 HTTP 1 버전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버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대강은 알 필요가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공부하면서 조금 이해가 안갔던 부분도 정리를 해두려고 한다. 전체적인 배경은 GPT 선생님께서 정리해주셨다. 1. HTTP 1.0 ~ 1.1HTTP 1.0 버전은 HTTP가 1991년 처음 발표되고 난 후 인기를 끌면서 발생한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반영하여 처음으로 표준화하여 발표된 ..
꼼삐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인프라 구성 쪽을 가장 공부해보고 싶었다. 꼼삐를 시작하기 직전에 회사에서 했던 배달공제조합 프로젝트에서 쿠버네티스와 아르고 씨디를 사용했었는데, 그때는 다른 계열사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인프라 관련 작업들을 다 해주기도 했고 워낙 개발일정이 빠듯했어서 인프라 구성 관련해서 제대로 공부할 수 없었다. 현업에서의 개발 환경은 확실히 다르긴 했다. 개발, 검증, 운영 세단계로 환경을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었고, 보안 수준이나 리소스 수준도 다르고 배포과정도 다르고... (사실 구체적인 부분은 잘 모름) 사실 무엇보다 쿠버네티스와 아르고 cd 로 구성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좀 멋져보였다. 여튼 이런 이유에서 꼼삐에서는 가상화 인프라 구성(가상 머신, 컨테이너) ..
Cypher
나 보려고 만든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