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중단 배포와 자동화 배포얼마전에 유튜브 영상을 보는데 CI/CD 라는 말이 오용되는 케이스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최근 신입 개발자 이력서에 Jenkins 나 Github Actions 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구조를 모두 CI/CD 라고 칭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실 자동화 배포 툴로 배포를 진행한다고 해도 프로젝트가 빌드되는 시간동안 배포가 중단된다면 이는 엄밀히 말해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배포된다는 의미의 CD(Continuos Deploy) 라 할 수 없으며 단순히 자동화 배포라고 이야기 해야한다는 말이었다. 그렇게 보니 우리 프로젝트 또한 빌드 시간 동안 배포가 끊기게 되는 자동화 배포 구조로 동작하고 있었다. 최근에 내 이력서를 보고 공부가 웹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치중되어 웹..
전체 글

의 여러 서비스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게 되어있다. 예를 들어 매칭 기능 같은 경우 내가 원하는 위치를 지정하여 창고를 등록해두면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서 수요가 맞는 아이템이 있는지를 검색한다. 기획 단계에서 이런 위치 정보 기반의 서비스를 구상할 때는 실질적으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기술적 고민을 거의 하지 않았었기 때문에, 막상 구현하려고 하니 어떻게 할지 머리속이 깜깜했었다. 프로젝트 초반부였어서 사실 간단한 부분인데도 많은 시도와 실패 끝에 겨우 기능 구현에 성공했는데, 이미 몇 달 지난 일이지만 기억나는 대로 정리해서 올려본다. 1. 초기 아이디어 비지니스 로직을 처음 작성하기 시작 했을 때, 가장 먼저 Storage(창고) 도메인의 기능 구현을 하려고 했었다. 는..
참고 자료 - AOP, ThreadLocal을 사용하여 N+1 detector 만들어보기[https://c-king.tistory.com/entry/N1-detector-%EB%A7%8C%EB%93%A4%EC%96%B4%EB%B3%B4%EA%B8%B0] 가끔씩 다른 개발 블로그들을 보면서 다른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코딩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지 구경을 한다. 아무래도 랜덤한 블로그들을 다 뒤지고 다니진 않고 나와 비슷한 위치에 있지만 조금 더 실력이 좋고 나은 사람들을 위주로 구경하려고 하는데, 우테코 같은 유명한 코스를 밟고있는 사람들이 자극 받기 딱 좋다. 위 레퍼런스는 AOP 에 대해서 아예 모르던 때에 처음 본 포스팅인데 글 솜씨나, 아이디어에서 큰 자극을 받았고 본 프로젝트에도 AOP ..